Jaemin's Story (169)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너정비교실 - 엔진오일관리 엔진 오일은 엔진 내부의 윤활 및 냉각, 밀봉, 방청, 청정작용 등을 통한 엔진 성능의 향상과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엔진 오일이 부족한 상태에서 차량을 계속 주행하면 엔진 내부의 운동 부분이 고착되어 엔진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엔진 오일은 밸브 가이드와 스템 및 피스톤과 실린더 라이너를 윤활시킨 오일의 일부가 연소실로 유입되어 연소 후 증발하여 엔진 오일이 소모됩니다. 그러므로 주행거리나 사용기간을 고려하여 점검 및 교환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운행차량은 교환시기를 앞당겨 교환하여야 합니다. 가혹조건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2.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 [참조] 교환주기는 취급 설명서 참.. 오너정비교실 - 와셔액 관리 와셔탱크에는 항상 좋은 품질의 와셔액이 채워져 있어야 합니다. 와셔액이 없을 시 와셔스위치를 작동하면 와셔모터의 고장원인이 되며, 하절기에는 수돗물을 사용해도 되지만 동절기에는 얼지 않는 와셔액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와셔액 보충 및 정검 1. 차량을 평탄한 장소에 위치한 후 엔진의 회전을 정지 (시동스위치 OFF) 시키고 와셔탱크의 위치를 확인 합니다. 2. 와셔탱크 옆면에 표시된 「F」와 「L」 사이에 와셕액이 위치하는지 확인합니다. 3. 와셔액이 부족하면 캡을 열고 와셔액을 「F」와 「L」사이에 위치하도록 보충합니다. 엔진 냉각수 또는 부동액을 와셔액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엔진 냉각수가 유리에 뿌려지면 시야를 가려 위험하고 차체와 도장에 손상을 줍니다. 오너정비교실 - 타이어관리 타이어의 수명 및 안락한 승차감 향상을 위해 매일 차량 주행전에 타이어 공기압 및 마모 상태를 점검하여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정검 평지에 차를 주차한 후 육안으로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 상태를 보고 공기압이 적당한지 확인을 하며 공기압이 과다 또는 부족 시 적정 공기압으로 유지하여야 합니다. 공기압 정상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균일하며 조향 및 승차감이 좋아집니다. 수시로 공기압을 점검하십시오. 공기압 과다 타이어 공기압이 과다시 노면에 접하는 타이어 접촉면의 중앙 부위가 마모됩니다 또한 승차감이 딱딱해지며 서스펜션 관련장치의 수명이 줄어듭니다. 공기압 부족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 시 접촉면 바깥 부분이 마모되고, 조향 핸들이 무거워지며 수막현상과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발생되어 주행 시 위험하며 타이어 수.. 오너정비교실 - 퓨즈점검 및 교환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안전을 위해 각종 퓨즈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퓨즈는 필요 이상의 과전류가 배선에 흐를 시 화재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퓨즈 박스 및 엔진룸 퓨즈 박스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퓨즈 정검 및 교환 갑자기 전기장치가 작동이 않되거나 각종 점등램프가 점등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관련된 퓨즈를 점검하여야 하며, 퓨즈박스 커버 안쪽에는 전기장치 명칭과 퓨즈의 용량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관련 퓨즈를 찾아 단선 유무를 확인합니다. 1. 시동 스위치를 「OFF」 시키고 모든 전기장치 스위치를 끕니다. 2. 의심이 가는 퓨즈박스의 위치를 확인하고, 퓨즈박스 커버를 분리합니다. 엔진룸 퓨즈박스 (위치) 커버 분리 실내 퓨즈박스(위치) 커버 분리 3. 퓨즈박스 커버에 표기된 배열도.. 오너정비교실 - 경제적인 운전요령 같은 차량이라도 운행하는 횟수나 운행거리 운전자의 운전 방법이나 습관, 도로의 여건, 차량의 상태등에 의해서 연료가 소모되는 현상이 들려지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지켜 주시면 연료 소모율을 줄일 수 있는 좀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1. 필요 이상의 공회전 금지 2. 장시간 정차 시 엔진 정지 3. 필요 없는 화물 적재 금지 4. 급가속, 급제동 가급적 지양 5. 가능한 정속주행 6. 타이어의 규정 공기압 유지 7. 안전거리 유지 (필요없는 제동은 지양) 8. 차량 일상점검의 생활화 오너정비교실 - 신차길들이기 보통 오너 운전자들은 신차 길들이기라면 엔진만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모든 기능성 부품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신차 길들이기에는 마음을 비우며 인내를 가지고 운전을 해야만 차량 성능을 최상 상태로 유지하고, 차량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으며 연비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신차길들이기 방법 차량을 처음 인도 받았을 때 신차의 길을 들인다고 고속으로 주행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최초 1,000km 전까지의 주행은 차량의 수명과 성능을 좌우하므로 이 기간동안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여 운행하십시오. 출발은 웜 - 업을 한 후에 하십시오. 시동 직후 급출발은 피하고 웜-업 후에 출발을 해야 엔진 및 변속기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급가속, 과속, 급제동은 삼가 하십시오. - 급가속은 많은 연료를 필요.. 오너정비교실 - 안전수칙 출발전 안전수칙 주행전 점검은 필히 1일 1회 주행전에 점검하십시오. 차의 후방에 인화 물질이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배기파이프에 마른 풀등이 달라 붙거나 후방에 타기 쉬운 것이 있으면 착화 될 위험이 있습니다. 운행전에 반드시 선바이저에 있는 주의사항을 숙지하십시오. 엔진 웜-업 시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하십시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 장시간 시동을 걸어 두면 배기가스에 중독될 위험이 높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올바르게 조정하십시오.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주행을 계속하면 타이어의 휠의 밀착이 나빠져 공기가 누출되거나 펑크날 우려가 있습니다. 안전띠는 필히 장착하십시오. 안전띠는 반드시 요골 위치에 착용 하십시오. 만약 운전자가 안전띠를 복부 혹은 기타 부위에 착용했을 경우에는 사고.. 오너정비교실 - 자동변속기 사용방법 선택레버 사용법 선택레버 [1] P (파킹) 주차 및 엔진 시동을 걸때 주차시는 차륜을 고정하기 위해 꼭 "P"로 해주십시요 R (리버스) 후진 시킬 때 반드시 차를 정차시킨 후 『R』 위치로 해 주십시요 N (뉴트럴) 중립 동력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시동을 걸 수 있지만 안전을 위해 『P』 위치에서 시동을 거세요 D (드라이브) 통상 주행 출발에서 고속 주행까지 자동으로 변속 됩니다. 3 (써어드) 완만한 내리막길 주행 시 1 ~ 3단으로만 주행이 가능 2 (세컨드) 내리막길 주행 시 1 ~ 2단으로만 주행이 가능 L (로우) 급경사 내리막길 주행 시 강력한 엔진 브레이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 1단으로만 주행 선택레버 [2] - 오토 (AUTO) 모드 P (파킹) 주차 및 엔진 시동을 걸때 주차 시는.. 이전 1 ··· 17 18 19 20 21 22 다음